-
[Git] Git 초보가 꼭 알아야 하는 Git 용어와 Git동작과정Git 2022. 7. 8. 14:54
오늘 부트캠프에서 Git을 사용하는데 멘토님이 git에 대해 설명을 해주시는데 모르는 용어가 너무 많이 나와서 내가 이해를 하지 못햇다.... 그래서 오늘은 git에 대한 기본 용어와 동작 과정을 조금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Git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알야할 용어가 있습니다.
-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 로컬 저장소(Local Repository)
- 클론 (clone)
-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
- 스테이징 영역(Staing Area)
- 커밋 (commit)
Git은 원격 서버에 위치한 저장소를 의미하는 원격 저장소와 각각의 개발자가 작업하는 개인 PC 저장소 로컬저장소가
있습니다.
만약 새로운 개발자가 프로젝트에 참여를 한다면 어떻게 할까요?
원격 저장소의 코드를 로컬 저장소로 가져오는 과정을 해야합니다. 이 과정을 클론(clone)이라고 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Git을 통해 로컬 저장소로 클론을 하게 되면 그 이후부터 로컬 저장소에서 변경되는 모든 과정들이 Git에 의해 추적되고 관리됩니다. 여기까지가 개발자들이 git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봤습니다.
그러면 이제 git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볼까요?
Git처리과정
Git 처리 과정 Git은 기본적으로 위의 이미지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위에 Local PC는 개발자의PC이고 Server는 Git원격 저장소를 의미합니다.
Working Directory(작업 디렉토리)는 PC에서 현재 작업 중에 있는 디렉토리입니다. Git에서 관리하지만 추적은 하지 않습니다!
(git. 파일이 있는 곳이 Working Directory입니다).
작업 디렉토리에서 git add 명령어를 치시면 그 다음에 내가 add한 파일이 Staing Area(스테이징 영역)에 올라갑니다
스테이징 영역(Staing Area)는 내가 git add로 올린 파일들이 있는 임시 저장 영역입니다.스테이징 영역으로 넘어온 작업 파일들은 git에 의해 변경점이 추적되고 관리 됩니다. 이게 무슨말이면 내가 A라는 파일을 수정하여 git add로 Staging Area로 옮겨 집니다.
그런데 이 파일이 원격저장소에 있는 A라는 파일과 내용이 다르게 되면 파일 내용이 다르다고 알려준다는 것 입니다.
Local Repository(로컬 저장소) 내가 이제 git add -> git commit을 하게되면 커밋한 파일들이 저장되는 공간입니다.
git commit을 할때마다 로컬 저장소에 commit한 파일들이 쌓이게 됩니다.
Remote Repository(원격 저장소) 내가이제 commit까지 다 하고 git push를 하게 되면 원격저장소(Github)에 저장되어 우리한테 보이는 공간입니다!
Git 동작 과정을 한번더 정리하게 되면
- 원격 저장소에 소스코드를 다운한다(Clone)
- 작업 디렉토리에서 작업한 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한다(add)
- add 로 추가한 파일을 다 확인후 이상 없으면 로컬 저장소에 저장한다(commit)
- commit으로 원격 저장소에 바뀐게 있는지 확인하고 바뀐게 있다면 내용을 가져온다 (git pull)
- 위 과정을 다 하고 이상이없으면 원격 저장소에 올린다 (git push)
이제까지 기본 동작과정을 알아 봤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과 GitHub란? (0) 2022.07.05